https://mongsangga77.tistory.com/60
↑↑↑↑ 인프라 사업 보고서의 관심 종목 공부해 보기 1. 현대 일렉트릭
기업 정보 및 주요 제품
현대 일렉트릭은 현대 중공업에서 전기전사 사업부가 분리되어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으로 상장되어 있다가 올해 주주 총회를 거쳐 HD현대일렉트릭으로 사명 변경 되었다. 최근 회사 연혁에서 주요한 연혁을 살펴보면 중국 공장 인수(인적 분할로 인한 인수로 보임), 미국 법인 설립, 전력변환장치 기업 인수 등이 있다.
ㆍ 2018.01.08 현대중공(중국)전기유한공사 인수
ㆍ2020.03.05 Hyundai Electric America Corporation
ㆍ 2022.04.13 전력변환장치 전문기업 '플라스포' 인수
현대 일렉트릭은 발전→송전→배전→소비(부하)에 이르는 전력공급 과정 전 단계에 필요한 다양한 전기전자기기 및 에너지 솔루션을 제작ㆍ공급하고 있다. 22년 연결기준 매출은 2,104,499백만원으로 제품 품목별 비중은 전력기기(전력변압기, 배전변압기, 고압차단기, 설치) 52%, 회전기기(회전기,저압전동기,인버터) 19%, 배전기기 등(배전반,저압차단기,전력제어,ICT 外) 29%이다. 2022년 누적 수출금액은 1,215,673백만원으로, 수출비중은 58%이며 주요매출처는 사우디전력청과 한국전력공사임.
사업 확장을 위한 투자 분야로 2022년 4월 신재생에너지용 전력변환기기 강소기업인 현대플라스포를 인수. 기존 에너지저장시스템(ESS), 태양광 시장용 전력변환기기 판매 확대 뿐만 아니라, 신규 시장으로 수전해, 연료전지, 선박용 전기추진시스템 시장용 전력변환기기 공급까지 사업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함. 2022년 12월 글로벌 풍력 선도기업인 지이리뉴어블에너지(GE Renewable Energy)와 전략적 해상풍력 사업협력 계약을 체결하여 해상풍력 사업 중 해상풍력터빈용 나셀 및 발전기 제조, 유지보수 서비스 사업을 영위할 예정임. 이 부분은 동사의 계획이고, 아직 현실화 된건 ESS 단지 정도 밖에 없는거 같다.
매출전망 및 이익전망
당사의 매출은 작년을 기점으로 흑자전환 하였다. 2023년 1분기 순이익이 288억으로 작년 전체 순이익의 50%에 도달하였으나, 통상임금에 대한 재판비용으로 인해 부채는 소량 증가하였음. 작년에 중동 지역의 수출이 많이 발생했는데, 사우디를 대상으로 하는 매출 비중이 전체 매출액의 11%로 나타났다. 연결기준 재무상태표를 보면 올해 1분기 매출액이 작년과 재작년 1년 매출액 보다 높아 올해 매출액이 큰폭으로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동사의 매출 상승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지역은 중동과 북미 매출이다. 그래프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중동과 북미대상 수주량이 2022년 부터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특히 중동은 작년 4분기 부터, 북미는 작년 2분기 부터 수주량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올해 1분기에도 가파른 수주량 증가가 발생했다. 이러한 수주량을 바탕으로 동사의 영업이익율이 올해 특히 개선 될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특히 동사의 장점은 미국 공장을 가지고 있다는 점으로 꼽히며, LS 일렉트렉 대비 관세나 세금 관련해서 수익성이 우위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함.
HD현대 일렉트릭의 또 하나의 캐시카우인 선박용 제품의 수주와 매출 추이를 보면, 우리 나라 선박 수주량과 함께 가파르게 증가하였다. 선박용 제품의 매출은 선박 수주 후 2-3분기를 우행한다고 함. 우리나라 특히 현대 중공업 계열의 선박회사들의 수주 건수가 작년에 굉장히 높았기 때문에 그 혜택이 올해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정리해 보면 여러 리포트에서 동사를 전력 인프라의 탑픽으로 꼽는 이유는 아래와 같다
1. 미국에 공장을 보유하고 있어 물류비, 관세 등에 대해 유리함
2. 중대형 변압기의 매출이 높으며, 현재 공공인프라, 국가 인프라에서 사용하는 변압기의 종류와 일치함
3. 변압기 공장 증설이 끝나있으며 2022년 부터 실질적으로 매출이 증가하고 있음
4. 매출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률이 증가 할 것으로 예상
5. 전력기기 회사 중 1등 회사임 (모를땐 1등이 최고..ㅋㅋ)
6. 번외로, ESG 평가 등급이 높음
리스크 체크
1. 이미 올라버린 주가.
대부분의 증권사의 목표가는 5만원 ~ 5만원 초반. 현재 주가 58,000원을 상회하고 있음. 시장 성장성과 1년 후 매출치가 주가에 반영 되었음. 53,000원 목표가가 PBR2배라고 하는데, 전력회사의 PBR2배는 굉장히 높은거라고 함 (리포트에서..) 다만 현재 나온 리포트들이 대부분 동사의 주가가 3만원 후반일때 발행된 거라 2분기 실적보고 정정 리포트가 나올 것으로 생각됨. 그 때 한번 더 체크해볼 필요가 있음. 그리고 목표가는 대체로 안맞음..(ㅋㅋ)
2. 피크아웃의 우려를 경계해야함.
지금의 얘기는 아닌데, 항상 제조업에서 주의해야하는게 피크아웃이다. 2025년 까지 전력기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는 것으로 보고 있지만 언젠가는 피크아웃 얘기가 나올것이라는 점. 특히 올해 말부터는 전분기 대비 매출액 증가율이 감소할 것이기 때문에 (기저 효과 탓) 흔들릴 때 조심해야 함
3. 항상 투자는 본인의 선택으로 할 것.
'투자종목공부하기 > 국내-전력기기-에너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6.26 씨에스윈드 급락 - 신규진입 (0) | 2023.06.26 |
---|---|
인프라 관련주 2 - LS 일렉트릭 공부하기 (LS Electric) (0) | 2023.06.25 |
ESS 관련주 - 서진시스템 (0) | 2023.06.22 |
미국 변압기 및 전력망 시장 관심 갖기 -산업 레포트 정리 (0) | 2023.06.19 |
#한화솔루션 다시 보기 (초기업로드 2022. 8. 19.) (0) | 2023.04.24 |